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관련

육아프로그램 '금쪽같은 내새끼' 알고보자 (인지발달이론)

by 쥬댕ii 2024. 5. 10.

피아제(Piaget) -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적응과정이며,

이것이 몇 가지 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고 보는 것으로, 스위스의 심리학자 피아제(Piaget)가 제시한 인지이론이다.

*인지: 여러 가지 방법을 거쳐 기억에 저장한 후 이를 사용할 경우 인출하는 정신과정을 의미한다.

 

인지 발달의 각 단계에 도달하는 데는 개인의 지능이나 사회환경에 따라 개인 간 연령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발달 순서는 변화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각 단계는 전 단계의 심리적 구조가 통합되고 단계가 높아질수록 복잡성이 올라간다. 또한 개인의 인지구조는 유아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느리게 변화하며, 그 일정 기간 동안 나타나는 사고양식에는 일관성이 있다고 본다.

발달 단계감각운동기(0∼2세), 전조작기(2∼7세), 구체적 조작기(7∼11세), 형식적 조작기(11세 이후)의 네 단계로 구분된다.

- 감각운동기: 감각적 반사운동, 강한 호기심을 보임

- 전조작기: 상징 사용,지각적 특성에 의존하는 직관적 사고, 자기중심적 태도
- 구체적 조작기: 사물간 관계 관찰하고 순서화하는 능력이 생김, 자아중심적 사고에서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기 시작함.

- 형식적 조작기: 논리적인 추론, 자유ㆍ정의ㆍ사랑과 같은 추상적인 원리와 이상들을 이해할 수 있는 시기.


심리학에서 제일 유명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입니다.

우리 아이들 커가는 모습을 생각했을 때에도, 금쪽같은 내 새끼를 보게 되더라도 발달단계의 키워드를 보니 와닿지 않으신가요?

미운 4살, 미운 7살 얘기 많이 들어보셨죠~?

인지발달에 의거하면 4살, 7살이 보통 자신이 보고, 생각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고, 오직 "나"만 생각하기 때문에 그래요

"내"가 보는 모든 것이 맞아!, "내"가 맞으면 아프지만 남을 때리면 아프다고 생각을 못하는 거죠~

이 [구체적 조작기] 때에 그래서 사회성 관련 교육이 많이 필요합니다! 교육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다음 단계인 구체적 조작기=초등학교 입학 후 더욱 바로잡기가 힘들다는 거죠.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에서 다루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