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관련

육아프로그램 '금쪽같은 내새끼' 알고보자 (정서발달)

by 쥬댕ii 2024. 5. 10.

정서발달에 대해 (정서발달, 기질)


1. 정서발달


 

1. 정서표현

1) 정서표현의 보편적 패턴

기본 정서 basic emotions → 복합 정서 complex emotions

 

기본 정서  basic emotions

- 선천적 정서이다.

- 생후 1년 이내에 나타난다.

- 흥미, 고통, 기쁨, 놀람, 공포

- 모든 정상 영아에게서 같은 시기에 나타난다.

- 모든 문화권에서 비슷하게 해석된다.

 

복합 정서 complex emotions

- 이차적이고 복합적인 정서

- 생후 1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정서 유형이다.

- 당혹감, 부러움, 죄책감, 자부심, 수치심 등 다양해짐

- 자의식적, 자시평가적 정서

- 인지발달이 동반되어야 나타나는 정서이다.

 

2) 정서표현의 사회성 정서표출 규칙

정서표현의 사회적 규칙

* 인지발달을 통해 정서표현 적절성 습득 / 정서조절

→ 생후 1년 이후부터 정서 통제 책략 발달시킴 →  2~6세에 이르면서 점차 정서표현 및 정서조절이 정교화된다.

 → 초등학교 후반 무렵 능숙하게 정서 조절 가능하다.

 

 

2. 정서의 인지와 해석

타인의 정서표현을 인지, 해석하는 능력은 서서히 꾸준하게 발달한다.

 

- 3개월 : 행복한, 슬픈, 화난 말소리 + 얼굴표정 구별이 가능하다

- 8~10개월 : 사회적 참조 (social referencing) 생후

- 1~2년 : 자신의 판단을 평가하기 위해 타인의 정서적 반응 살펴보기 시작한다.

- 18~24개월 : 자신의 정서에 대한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 4~5세 : 친구가 왜 화 났는지, 행복한지, 슬픈지를 설명할 수 있다. → 공감 (emphathy) 능력의 기초 학령기 : 점차로 내적/ 외적 정보를 모두 사용하여 정서를 해석할 수 있다.

★ 7~9세 : 한 사람이 한 가지 이상의 정서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3. 정서와 초기 사회적 발달

정서표현은 의사소통 기능 수행하며, 정서적 유능성이 사회적 유능성의 기초를 형성한다.


2. 기질 temperament

개인이 외부의 환경적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개인의 특징적 반응양식

안정된 정서적 반응 양식의 질적, 양적 특성의 개인차 성격의 개인차의 근원


1. 기질의 분류

(1) Thomas & Chess (1977) : 기질 분류를 위한 기질적 특성의 차원을 밝혀냄

기질적 특성의 차원 = 활동성/ 규칙성/ (자극에 대한) 접근과 회피/ 주의 폭 / 지속성 / 기분/ 적응력/ 예민성/ 반응 강도

기질 유형 분류 : 순한 기질 / 까다로운 기질 / 더딘 기질

(2) Rothbart & Bates (1998, 2006) 기질의 6개 차원 : 두려움과 억제 / 과민성 / 주의 폭과 지속성 / 활동 수준/ 긍정적 정서성 및 접근 / 규칙성

 

2. 기질의 특성

- 기질은 선천적 특성이다.

- 영아의 기질은 성인기 성격 및 문제행동과 관련.

- 개인의 기질적 특성은 타인이나 외부 환경에 반응하는 방법에 영향을 줌

- 개인의 기질적 특성은 타인들이 그 개인에게 반응하는 방법에 영향을 줌

- 조화의 적합성 (goodness-of-fit)이 중요함

- 기질의 안정성

- 기질의 문화적 상대성